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[Data] Jupyter notebook 시작하기_파일추가/단축키
    공부를 하다 2020. 5. 24. 20:53

    설치가 완료된 Jupyter notebook 에서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를 정리합니다.

    화면에서 오른쪽 상단에 'New' 를 눌러 Python3 을 하나 추가해주세요.

     

    아래와 같이 Untitled.ipynb 파일이 하나 생성 되었습니다.

    Jupyter notebook의 장점은 Line 단위로 실행시킬 수 있고 중간 중간 메모와 정리를 할 수 잇어 데이터 분석에 참 편한데요 

    여러번 사용해 보면 왜 좋은지 느껴지실 겁니다.

     

     

    1. 파일 이름 바꾸기

    맨 위의 상단에 있는 Untitled로 되어있는 파일이름을 클릭합니다.

    클릭과 동시에 편집 가능한 상태로 변경되는데요, 원하는 이름으로 설정하면 됩니다. 

    저는 Test라고 바꿀게요

     

    2. Code(y) <-> Markdown(m)

    Markdown이란?

    우리가 노트에 쓰는것처럼 필기할 수 있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이에요.

    각 라인은 Code/Markdown/Raw NBConvert/Heading 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, 

    주로 Markdown 과 Code 를 사용합니다.

     

    Markdown으로 변경하고 싶으면 아래와 같이 상단메뉴에서 변경해도되고, 단축키로는 'm'을 누르면 Markdown으로 변경됩니다. (Markdown 에서 Code로 가는 단축키는 y)

    현재는 Code로 되어있어요. Python 의 코드로 인식되는 칸이에요.

     

    <<<<모든 단축키는 커서가 깜빡이지 않는 단축키 모드에서 사용하여야 합니다.

    입력모드라면 ESC 를 눌러 명령어 모드로 변경 후 사용하세요>>>>>

     

    3. Markdown 

    저는 Markdown으로 변경 후에 코드에 대한 설명이나 변수 등등 배경에대해 설명을 쓰고 시작하는 편이에요.

    Markdown 의 기능에서는 '#'을 이용해서 중요도를 지정하여 글자 크기등을 변경해줄 수 있어요.

    이렇게 쓰고서 Ctrl + Enter (실행) 을 해주면 아래와 같이 정리된 모습으로 나오는 마법같은 기능입니다.

     

     

    4. Code 

    아래와 같이 Python 코드를 입력하고 Ctrl + Enter (실행)을 하면 각 줄의 코드가 실행됩니다.

    [1], [2] 는 실행된 순서가 표기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5. 칸추가

    현재 칸보다 아래에 추가하고자 하면 b (below)

    현재 칸보다 위에 추가하고자 하면 a (above)

    를 누르면 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자 여기까지 이제 Jupyter notebook 사용하기 훨 편해졌습니다.

    이제는 정말 코드 적어봅시다!

Designed by Tistory.